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혈액순환

(4)
기혈보충, 탈모예방, 면역력, 천연감기약 쌍화차 감기 걸리면 마시는 쌍화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기 걸렸을 때나 몸살이 있을 때만 주로 찾는 쌍화차에는 좋은 효능들이 많습니다 약처방으로 한의학 쪽에서 자주 쓰였으며 몸을 건강하고 이롭게 해주는 차. 약입니다. 동의보감 신체의 피로, 기혈이 상했을 때 회복을 시켜주는 등에 효과가 있다고 적혀있다고 합니다 쌍화차에 들어가는 재료는 백작약, 숙지황. 대추, 생강, 천궁, 감초, 당귀, 계피등이 있으며 잣, 호두, 계란등도 첨가해서 먹으면 좋습니다. 효능 1. 감기 대표적인 효과로 평소 감기에 자주 걸리시는 분들, 추위를 많이 타시는 분들은 쌍화차를 마시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쌍화차가 자체가 낮은 체온의 상태를 올려주는 역할이 있다고 하여 천연감기약으로도 많이 이용을 하고 있습니다. 2.면역력 체온상승은..
따뜻한 성질의 생강의 효능과 부작용 생강에 대해서 알아보자 새앙·새양이라고도 한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채소로 재배한다. 생강특징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라고 다육질이며 덩어리 모양이고 황색이며 매운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다. 뿌리줄기의 각 마디에서 잎집으로 만들어진 가짜 줄기가 곧게 서고 높이가 30∼50cm에 달하며 윗부분에 잎이 2줄로 배열한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양끝이 좁고 밑 부분이 긴 잎집이 된다. 한국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열대 지방에서는 8월에 잎집에 싸인 길이 20∼25cm의 꽃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꽃이삭이 달리며 꽃이 핀다. 꽃은 포 사이에서 나오고 길이가 4∼7.6cm이다. 꽃받침은 짧은 통 모양이고 화관의 끝 부분은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다. 씨..
구릿대 나물, 구릿대 뿌리, 개구릿대 , 구릿대효능 피부미용 , 진통효과에 좋은 구릿대 구릿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1m 전후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줄기는 크고 두툼하며 수염뿌리가 많다. 잎은 깃꼴겹잎으로 많이 갈라져 있고 갈라진 잎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날카롭고 거치가 있다 동속 약초로서 개구릿대, 어수리, 천 백지도 있는데 모두가 맛은 맵고 약성은 따뜻하여 독이 없다. 성분 은 대부분이 정유가 주성분이며 백앵게리신, 백앵게리콜을 함유하고 있고 임페라토린, 이소임페라토린, 펠로테린, 하이드로카로틴과 경련독의 일종일 앵게리코톡신등을 함유하였다. 백지는 진통약으로 두통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유행성감기 및 산전 산후두통, 어지럼증, 치통, 안면신경통, 마비 등에 유효한 효능 이 있다. 또한 지혈작용이 있어서 부인들의 월경..
공진단, 십전대보탕의 주재료 당귀효능 당귀에 대해 알아보자 당귀는 한의학에서 화혈과 보혈작용을 하는 약재로 사용하며 혈액을 보충하고 보강하면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십전대보탕과 공진단에 주재료로 사용된다. 당귀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방향성 초본 당귀의 뿌리이다. 당귀의 식물 형태를 살펴보면 높이는 60㎝에서 90㎝ 정도이며, 꽃은 흰색으로 8월과 9월경에 원줄기와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습니다. 약재 형태는 굵고 짧은 주근으로부터 줄기 및 잎의 잔기가 남아 있다. 섭취방법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어린 뿌리나 연한 잎은 쌈이나 겉절이 등의 반찬으로 이용한다. 잘 말려서 가루로 내어 쌀가루와 섞어 떡을 만들어도 좋다. 궁합음식정보 닭고기 (철분을 포함한 닭고기와 혈액생성..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