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짚신나물

(2)
두루미가 던져준 선학초, 용의 이빨 용아초, 항암약초 짚신나물 선학초, 용아초, 짚신나물 짚신나물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입니다. 생육환경은 토양의 비옥도에 관계없이 양지 혹은 반그늘에서 자랍니다. 키는 30~100㎝ 정도이고, 잎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가 3~6㎝, 폭이 1.5~3.5㎝로 어긋나고 표면은 녹색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황색으로 길이가 10~20㎝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립니다. 열매는 8~9월경에 달리고 윗부분에 갈고리와 같은 가시들이 많이 나 있습니다. 어린잎은 식용, 전초는 약용으로 쓰입니다. 짚신나물의 선학초란 이름의 유래는 과로로 쓰러진 선비가 두루미가 던져준 풀을 먹고 기력을 회복하여 과거에 급제하였기에 부쳐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또한 잎의 모양이 용의 이빨과 비슷하다고 하여 용아초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짚신..
선학초, 과향초, 황룡미, 탈력초, 지선초, 낭아초 선학초(仙鶴草), 과향초(瓜香草), 황룡미(黃龍尾), 탈력초(脫力草), 지선초(地仙草), 낭아초(狼牙草)라고도 합니다. 선학초'라고도 불리는 짚신나물은 옛날 선조들이 짚신을 신던 시절에 짚신에 선학초의 씨앗이 밭이나 길가에서 자랍니다. 줄기는 높이가 30~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5~7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입니다. 작은 잎은 크기가 고르지 않지만 끝에 달린 3개는 크기가 비슷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며 긴 타원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를 전체를 용아초(龍芽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지혈제로 소변출혈, 자궁출혈, 각혈, 변혈 등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합니다. 유럽에서는 이와 비슷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