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형외과

(9)
무릎인공관절수술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알아봅시다. 무릎관절이 각종 질환이나 외상 등의 원인으로 스스로 연골을 재생할 수 없고 약물이나 물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만으로 증상을 완화하는데 어려운 경우, 손상된 관절을 대신하여 인체에 무해한 특수 재료로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입니다. 목적 일상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삽입된 인공관절은 손상된 관절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통증이 감소하고 관절 운동이 가능해지며 관절의 안정성을 얻고 변형을 교정합니다. 관절이 닳았다고 무조건 시행하는 수술은 아니고, 일상생활에 복귀하여 삶의 질 향상과 기능 회복에 초점을 맞춰 수술 여부를 결정합니다. 인공관절 수술을 하는 경우 1. 관절 손상이 너무 심한 경우 2. 보존요법, 물리치료, 운동..
횡문근융해증 횡문근융해증이란 횡문근융해증은 근육이 괴사 되면서 세포 안에 있는 근육 성분이 혈액으로 방출되면서 나타나는 증후군입니다. 근육 세포에서 나오는 크레아티닌 키나아제와 같은 근육 효소의 혈중 농도가 상승하고, 근육 통증이 있으며, 소변에서는 근육세포에서 나오는 미오글로빈이 나오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운동 또는 외상 혹은 수술과 같은 요인들로 하여금 근육에 에너지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괴사가 나타나게 되어 이로 인해서 발생한 독성물질이 순환계로 유입되어 유발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독성물질은 신장기능을 약화시키게 되어 급성 세뇨관 괴사 또는 신부전증을 유발하게 될 수 있다 질환의 중증도는 증상 없이 근육 효소의 혈중 농도 상승만 나타나는 경증 상태에서 급성 신손상, 전해질 불균형, 근육 효소..
정형외과와 신경외과 구별법 정형외과 신경외과 증상 정형외과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 병명과 수술명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반월상 연골 파열 - A/S menisectomy - 무릎 사이 반월상 연골이 찢어졌으나 무릎 간격이 유지될 때 ( 청년/ 중년일 때) - 발톱 부러지면 정리해 주는 정도 - 결국엔 골 관절염이 진행을 합니다. -퇴행성 관절염 - TKR, UKR - 무릎이 완전히 서로 붙어버렸을 때.. - 4기 관절염 - 한쪽이 망가지면 인공관절 부분치환술, 전체적으로 망가지면 인공관절 전치환술이 필요합니다. 어깨 충돌 증후군 - A/S acromioplasty Acromion 이 SST ( supraspinatous tendon)을 긁으면서 충돌하는 증세 어깨를 올릴 때 힘듭니다. 힘줄이 완전히 끊어지면 회전근개봉합술 [RCR..
신경성형술 신경성형술이란?????? 신경성형술(Percutaneous Epidural Neuroplasty) 또는 신경박리술 (Neurolysis) 같은 것이며 병원마다 부르는 게 다르지만 보통 PEN이라고 많이 부른다. 수술 없이 주사로 통증을 완화시키는 치료법입니다. 허리디스크에 의해 압박을 받고 있는 신경주위로 유착을 분리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꼬리뼈를 통해 유착된 부위를 확인하고 유착 방지제를 주입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입니다. 적응증??? 협착증 좌골신경통 수핵탈출증 요배부 수술 실패 증후군 (FBSS) 효과???? 본 시술은 염증 부위를 조종가능한 catheter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분해를 한 후 medication(H-lase, 트리암실론) 하는 의한 섬유의 분해 효과도 미미하기 때문에 약간의 소염 ..
허리에 좋은 것은 뭐가 있을까요? 허리에 좋은 것이 뭐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운동 걷기 운동 ( 1시간 미만이 가장 적합합니다) 자전거 타기 (실내 자전거도 가능) 수영 ( 자유형, 배영) 등산 (낮은 산이 적합합니다) 체조 또는 가벼운 요가 가벼운 에어로빅 2. 침상 안정 허리 통증이 있을시 1-3일 정도 침상 안정을 하고 통증이 어느 정도 좋아지면 빨리 침상에서 일어나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똑바로 누워서 무릎 밑에 베게를 괸 자세가 좋습니다. 3. 약물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 (NSAIDS) 근육이완제, 혈액순환개선제, 위장보호제, 골다공증 치료제 4. 요툥의 예방= 자기관리 = 성공 스트레스 긍정적인 마음 야간작업 스트레스해소 약물의존 -> 절주금연 음주흡연 규칙적인 생활 부절제 적절한 운동 과격한 운동 바..
척추질환에 대해 흔히 하는 질문! 척추질환으로 답답했던 고민을 해결해 보겠습니다. 주변 사람들이 척추는 수술하는 거 아니라고들 합니다. 주위에서 엄청 말리기도 합니다. 시술을 해도 결국 수술하고 수술해도 재발한다고 합니다. 허리 수술은 적당한 시기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Q: 허리 수술하면 평생 고생한다는데 안 하고 버텨야 할까요??? A: 허리 통증으로 인해 이미 많이 고생하지 않으셨나요? 계속 놔두게 되면 통증이 더 심해질 것입니다. 현재 한국은 88년도때와 많이 다릅니다. 통증에 대한 주사도 있고, 최소 침습으로 하는 수술도 있으며 간단하게 시술로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Q: 허리 시술은 하고 나 면결국 수술한다는데 참았다가 수술하는 게 나을까요??? A: 허리 시술로 가능하다면 시술하는게 낫습니다. 시술은 수술을 뒤로 미루게 해..
퇴행성 척추질환들 퇴행성 척추질환의 종류와 증상을 알아봅시다. 퇴행성 질환 은 갑작스레 나타나는 질환이 아니라 오래 시간 동안 서서히 진행되는 부분입니다. 퇴행성 디스크는 초기에 올바른 치료를 받지 않으면 디스크가 더욱더 밀려나가면서 신경을 자극해서 다리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 척추협착증은 척추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척추협착증은 일반적으로 노인층에서 발생하며, 디스크 탈출증, 미세 동맥병증, 골다공증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증상. ⦁ 엉덩이 혹은 다리나 발의 저림이 있습니다. ⦁ 바로 눕거나 엎드려 자는 것이 힘들어 옆으로 누워 엉덩이나 무릎을 구부린 채 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 10-20분 혹은 50m-100m를 걸어도..
디스크 질환의 원인및 증상 디스크 질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척추 디스크 질환은 디스크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건강 문제를 말합니다. 디스크 손상은 일상적인 활동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손상 정도에 따라 증상의 심각성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척추 디스크 질환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디스크 탈출: 디스크 손상으로 인해 디스크의 내부 젤 상태 물질이 디스크의 외부를 벗어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디스크 탈출은 인근 신경을 압박하거나 디스크 조각이 신경근에 침범하여 발생하는 통증, 저림, 근육 약화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디스크 추출: 디스크의 내부 젤 상태 물질이 디스크의 외부로 나와 신경 조직을 자극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디스크 추출은 디스크 탈출보다 더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증상은 통증, 저림, 근육 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