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학초, 과향초, 황룡미, 탈력초, 지선초, 낭아초
선학초(仙鶴草), 과향초(瓜香草), 황룡미(黃龍尾), 탈력초(脫力草), 지선초(地仙草), 낭아초(狼牙草)라고도 합니다. 선학초'라고도 불리는 짚신나물은 옛날 선조들이 짚신을 신던 시절에 짚신에 선학초의 씨앗이 밭이나 길가에서 자랍니다. 줄기는 높이가 30~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5~7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입니다. 작은 잎은 크기가 고르지 않지만 끝에 달린 3개는 크기가 비슷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며 긴 타원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를 전체를 용아초(龍芽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지혈제로 소변출혈, 자궁출혈, 각혈, 변혈 등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합니다. 유럽에서는 이와 비슷한 ..
광대나물, 등룡초, 연전초, 코딱지나물, 장구나물, 보개초, 접골초
노인들의 명약 광대나물 광대나물은 부처를 싸고 있는 풀 등룡초과 연전초라 불리고 지역에 따라 코딱지나물, 장구나물 한약명은 보개초와 등료초, 접골초라고 불립니다. 풀밭이나 습한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 30cm 정도이다. 줄기는 모가 나고 가지를 치며 비스듬히 눕기도 합니다. 잎은 길이 5∼10cm, 나비 3∼8cm로서 마주나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글고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고 양쪽에서 줄기를 완전히 둘러쌉니다. 잎 앞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지혈을 멎게 하는데 사용해 왔고 풍사를 몰아내고 부종을 다스릴 때 쓰여왔습니다. 약리작용으로 근육통과 타박상, 고혈압, 혈액순환 촉진작용, 림프절결핵, 황달, 축농증 등이 있습니다. 특히 근골동통, 전신동통, 수족마비에는 1..
산마늘효능, 명이나물효능
산나물과 명이나물은 같은 말 산나물 중 유일하게 마늘 향이 난다고 하여 ‘산마늘’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울릉도에서는 춘궁기에 목숨을 이어준다고 하여 ‘명이나물’이라고 불렸다. 잎에서 마늘 향이 나며 섬유질이 많아 육류와 궁합이 잘 맞는다. 주요 생산지 - 경북 울릉, 영양 - 강원 평창, 인제, 홍천, 강릉 - 경남 하동 쌈, 튀김, 초무침,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에 이용된다. 울릉도산과 강원도산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울릉도산은 잎이 넓고 둥근 반면, 강원도산은 잎이 길고 좁은 것이 특징이다. 효능 및 영양성분 알리신은 비타민 B1 활성화 및 항균작용을 하며, 콜레스테롤을 낮춰준다. 또한 비타민 A가 많아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감기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며 호흡기를 튼튼하게 하고 시력을 보호한다. 열량..